이 사이트
http://iveesoft.co.kr/ 는 얼굴 사진을 올리면 유명인사를 중심으로 그 얼굴을
FaceRecognition 해서 그 사람의 닮은 얼굴을 찾아 보여 줍니다. 연예인 사진들을 올리면 거의 정확히 인식합니다. ( 소개된 곳
http://www.hof.pe.kr/wp/archi... )
다음은 시험적으로 나혜석 (
http://tinyurl.com/77cc3 ) 의 사진을 올려서 돌려 본 것입니다.
이소룡이라는 첫번째 결과는 약간은 우습지만, 이제니 전지현 박수애 등은 조금씩 닮은데가 있어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기능은
Semantics 를 웹에서 돌아다닌 이미지에 자동으로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우선 이미지
Search 에 매우 유용해 집니다.
특히, 특별한 설명없이 이미지를 업로드 하게 허용하는
http://www.imageshack.ws 같은 곳에서는 이런 기능을 갖고 있어야만 자신들이 갖고 있는 방대한
Image 를 검색 가능한 의미있는 것으로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포털과 검색 사이트들
각 사이트에서 자기 자신을 한글로 검색하면 자기 사이트가 나올겁니다.
그럼, 이미지를 검색하면, 맨처음 나오는
FirstPage 는?
구글 로고가 나옵니다. 그러나 구글도 안심하긴 이른 것이 여기
http://www.psnnet.net/tt/inde... 를 보면, 이미지 검색외에 다른 서비스에서는 한심한 실수를 합니다.
세계의 야후디자인이라는 이미지가 나옵니다.
이런 이미지와 함께,
손톱에는 톱이 없는데... 로 시작하는 언어유희 농담이 하나 뜹니다. (참, 당혹스러운 쓰레기 검색결과입니다만, 네이버 지식인 패러디라서 나온 것이라고 추측해 봅니다.)
엠파스의 주가에 대해서 딱 네 마디 쓰고 있는 한 블로그에 소위
짤방 으로 박힌 이 사진을 처음에 보여 줍니다. 블로그 우선 정책의 폐해 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엠파스가 요즘
Inversion 검색을 자랑하는 것과 비교해 보면 역시 최악의 첫번째 결과입니다. 네이버와 달리 나머지 이미지들은 모조리, 엠파스의 로고, 광고 사진 들입니다.
다음 신지식 검색에 대한 패러디 포스터가 뜹니다.
파란 이라는 5인조 아이돌 그룹의 사진이 뜹니다. 명확히 나와있지는 않습니다만, 파란 포털이 스폰서를 맡고 있는 팀 같아 보이긴 합니다. 포털 이름이 흔히 쓰는 형용사인 것을 보면 나름대로 의미 있는 결과 입니다.
어느 교재에서 사용된
옛날 알타비스타 검색 엔진의 화면 캡처를 보여 줍니다. 커뮤니티나,
QNASearch , 자체
Contents* 가 없는 웹 검색 전문 엔진 치고는 쓰레가 같은 결과입니다. 물론 알타비스타가 본격적으로 한국을 공략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유가 있기는 합니다.
첫 검색 화면에서 엉뚱한 농담이나 연예인 사진을 자기 회사 이름에 대해 제시 해 주는
이미지 검색 은 실망스럽습니다. 특히나,
검색 을 주무기로 내세우는 네이버와 엠파스가 커뮤니티를 강점으로 내세우는 다음보다 더 가당찮은 결과를 준다는 점은 씁쓸합니다.
1. 첫째로, 이것은 각 회사들의 성의 부족입니다. 아무리 멍청하고 안좋은 검색엔진이라도, 자기 회사 이름으로 이미지 검색을 하면 자기 회사 관련 자료가 나오게 하는 것 쯤은 10분이내에 집어 넣을 수 있을 겁니다.
이것은 기획-마케팅
Marketing -기술-운영 의 팀들이 진정으로 융합되어 움직이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2. 둘째로, 이는 대부분의 검색엔진들이 그림 주변의 글에 의존하여 그림을 분류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그림의 크기, 위치 등을 인공지능적으로 인식해서 그림이 웹페이지에서 사용된 용도를 추적하는 기법이 필요할 겁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그림자체를 화상인식하고, 자동적으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할 텐데,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겠지만, 검색엔진 기술을 연구하는 회사로서는, 다른 인공지능 분야 응용기업과 함께 꾸준히 간단한 단계부터 차근차근 노력 해야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재밌네요^^
검색엔진에도 개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느꼈습니다..ㅋㅋ - 아크몬드 2005.11.13, 9:16 am
MSN 메신저에 대한 그림이 나옵니다.
네이버나 엠파스의 마케팅팀은 엄청난 돈을 들여서 전지현과 문근영을 기용하고 사진작가에 스투디오에도 돈을 꽤 주고 자기 회사 홍보 사진들을 찍었습니다. 그렇다면, 검색결과에 그 사진들을 제일 먼저 등장하게 하겠다는 생각은 왜 못하고, 엉뚱한 농담과
짤방 이 등장하게 방치하는 겁니까? 검색 기술팀, 운영팀과 마케팅-기획팀이 손발이 맞지 않고 있는 겁니다.
- 새로 부활하여, 현란한 이미지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라이코스 는, 첫 검색결과로 미국 라이코스에 솔루션을 제공해줬다는 사연 덕분에, 한심하게도 nA4 라는 회사의 저작도구 이미지를 띄워 줍니다.
안녕하세요 :=) 오래간만입니다.
4월 3일 입대한 후로 이번에 휴가 나와서 흔적 남기고 갑니다..
오늘이면 휴가도 끝이로군요. =_=~
건강하게 지내시길. - 아크몬드 http://vista.golbin.net 2006.06.21, 12:40 pm
반갑습니다. 군생활 잘 하시기를. 아크몬드님의 방문때는 이상하게 감동스러운 느낌이 듭니다. - 게렉터
웹 최초의 이미지
가장 거대한 아스피린 블로그
http://blog.naver.com/kickthe... 에 소개된 웹 최초의 이미지. CERN 파티에 참여한 네 사람의 이브닝 드레스 여성의 사진입니다. 그런데 최초의 이미지치고, 사진질이나 크기가 꽤 괜찮아 보입니다. 벡터방식으로 그림을 그려주는 telnet 기반의 프로그램이 공존하던 시절인데 말입니다.
이미지 검색과 호스팅
이미지 검색은
ImageHosting 사업과 연결되면, 다양한 자료를 끌어모으고 활용하는 방편이 극대화 되므로 더욱 재미있어 질 수 있습니다. 여기에 사진에 대한 저작권 문제만 어떤식으로든 확실해 질 수 있으면, 꽤 구체적인 수익원을 구해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저런 이미지를 판단해서 검색하는 기술같은경우 기본적으로
공통적인 공부방향이 없을까요?
m--m@hanmail.net - 김재현 2008.09.05, 11:39 am
re:김재현
인공지능의 패턴인식, 이미지 프로세싱을 공부해 보세요. - mondo 2008.09.24, 5:13 pm
(마지막 변경 UNIX clock : 1242260066 / Common clock 2009.05.14, 9:14 am
)
다음글 FaceRe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