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는 최초에 WikiKiwi라는 위키엔진으로 제작 되었습니다. 위키 키위 라고 읽습니다. 현재의 블로그는 과거의 WikiKiwi를 사용하지 않고, 새롭게 개량된 자작 블로그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작동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3.0 전, 과거의 WikiKiwi를 소개합니다.
WikiKiwi 다운로드
WikiKiwi는 2005년 최초 공개 당시부터, KLDP의 페이지
http://kldp.net/projects/wiki... 를 통해 공개, 관리 되고 있습니다. 지금도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WikiKiwi 1.0 소개 (2005년)
위키키위를 사용하기 위해 할 일은
오직 PHP 가 돌아가고 있는 웹서버에 위키키위를 업로드 하는 것 뿐입니다. 최소로 줄인다면 위키키위는 오직 index.php 파일 하나만을 업로드하는 것 만으로 설치를 끝낼 수 있습니다.
다른 위키엔진과 다른 위키키위의 특징
- 오직 PHP만 있으면 어디서든 된다.
- 디자인을 비교적 간편하게 바꿀 수 있다.
- 블로그로 사용하기 편한 편이다. (RSS 지원)
- 정적 HTML을 생성할 수 있어서, 웹페이지를 급히 만들 때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다.
|
위키키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MySQL, Oracle 등의 데이터베이스 설정이나 Python, Perl 등의 언어 처리 프로그램을 전혀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할 일은 오직 PHP 스크립트를 돌릴 수 있는 웹서버에 위키키위 프로그램을 업로드하는 것 뿐입니다.
SQL, Python, Perl 등을 설치할 필요도 알 필요도 없습니다.
또한 HTML에 대한 지식만 있으면, wk_design.htm 파일을 일반적인 HTML 문서를 수정하듯이 고쳐서, 위키키위의 디자인을 간단히 바꿀 수 있습니다.
위키키위의 이름이 위키키위인 것은 이 위키위키가 뉴질랜드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위키 키위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
만약 아무런 준비가 되지 않은 평범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사용자로서 위키위키를 사용하시고 싶으시다면, 위키키위는 시험해 볼만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상용 웹호스팅 업체에서 PHP 스크립트가 가능한 계정을 하나 신청해서 받으신 다음 거기에 압축을 푼 위키키위를 업로드 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그것으로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만약 스스로 웹서버를 가동하고 싶으시다면 다음 링크를 일단 방문하셔서 추가적인
정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웹서버와 PHP를 설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설치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해야할 일은 위키키위를 다운로드 받아서 APACHE 웹서버의 웹 폴더에 풀어주기만하면 위키키위를 쓸 수 있습니다. 아마도 C:/APACHE/HTDOCS 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면 웹서버에 index.php 라는 파일에 접속하면, 위키키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키키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고려해서 만들어졌습니다.
- 설치가 간단해야 한다.
- 사용이 쉬워야 한다.
- 사용자가 마음대로 간단히 전체 디자인을 마구 바꿀 수 있어야 한다.
- 기본적인 PHP 이외에는 어떠한 추가적인 복잡한 설정과 설치가 없어야 한다.
- 위키위키로 만든 페이지를 일반 HTML 페이지로 옮기기 간편해야 한다.
위키키위는 초기 버전에서 다음 확장 기능들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 블로그의 트랙백 기능 지원
- 어느 브라우저에서건 표준 Javascript 만으로 돌아가는 단순화된 오에카키 를 지원한다.
- 열람용XML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따라서, 만들어 놓은 웹사이트의 내용을 PHP를 지원하지 않는 일반 계정에 업로드 한 뒤, ajaxindex.htm 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열람전용 페이지, 혹은 백업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
- 페이지에 암호 걸기 기능, 답글 기능이 있다.
- 파일업로드/검색 기능을 지원한다.
(주의: 위 기능들은 사용 빈도가 낮아 WikiKiwi 3.0 이후에서는 제거 되었습니다.)
Oct. 2007 업데이트
10월 업데이트는 현재 최종 테스트후 공개할 예정입니다. 10월 업데이트에서는, 정적인 웹사이트를 빠르게 구축하기 위해 동적인 WikiWiki를 활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자기 컴퓨터에 설치해 놓은 서버에서 혼자서 WikiWiki로 작업한 내용을 그대로 FTP 등으로 PHP가 없는 계정에라도 업로드만 하면, 그 모습 그대로 HTML 페이지들이 올라가므로, 여전히 외부에서 접속해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 조직, 그룹 내부에서 WikiWiki 를 이용해 자유롭게 편집, 수정, 추가 작업한 후,
- 결과물을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웹 사이트에 올려서 다른 사람들이 수정은 하지 못하고 볼 수만 있게 한다.
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혹은, 읽기만 하는 사람들에게는 기본적으로 HTML 페이지만을 보여주고, 수정이나 덧글을 달 때만 PHP 스크립트에 접근하도록 해서 서버 부하를 최대한 줄일 수도 있습니다.
2007년 10월 버전의 동작
이상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기에 가능합니다.
- 새버전은 항상 한 페이지에 해당하는 .htm 파일을 백업으로 계속 만듭니다.
- 첫페이지는 FIRSTPAGE.htm 이라는 이름의 파일로 만들도록 되어 있습니다.
- 따라서, 읽기만 하는 사람은 FIRSTPAGE.htm 으로 접속하면, 모든 링크는 .htm 으로 이어지면서 항상 서버 스크립트 동작 없이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 읽고, 쓰기를 자유롭게 해야 하는 사람은 기존 처럼 index.php 로 접속하면, 예전과 같이 동작합니다.
읽기전용 HTML 파일에 권한 부여 하기
읽기전용 HTML 파일은 기본적으로, 업데이트 목록, 제목 목록, 다른 페이지로 링크, 덧글 달기는 허용 되며, 페이지 수정을 포함한 그외의 서버를 조작하는 행위는 동작하지 않도록 막아버립니다.이것을 변경하려면, index.php 파일의, 2500 행이후에 나오는
- ALL THE DYNAMIC THING PROHIBITION 이라는 주석이 있는 행을 index.php 에서 제거하면 서버를 조작하는 링크들이 일단 활성화 됩니다.
- EDIT PROHIBITION 이라는 주석이 있는 행을 index.php 에서 제거하면 읽기전용 HTML 파일에서도 페이지 수정을 할 수 있는 링크가 활성화 됩니다.
등을 조정해야 합니다.
UTF-8 지원
새 버전은 UTF-8을 지원하기 위해, 몇몇 핵심 키워드가 영문 키워드도 지원하도록 바꾸었고, 몇몇 쿼리들을 urlencoding 을 통해서만 접속하도록 개선되어 있습니다. 소스코드 자체는 EUC-KR 로 되어 있지만, 특별히 치명적이지 않은 UTF-8 인코딩 활용에는 큰 문제가 없는 듯 합니다.
(마지막 변경 UNIX clock : 1447216151 / Common clock 2015.11.11, 1:29 pm
)
다음글
OldiesButGoodies